[BIG5 성격검사] 걱정많고 자제력 부족한 사람은 이렇게 살겠습니다.
BIG5 성격검사란?
이 글은 무명자님의 블로그를 인상깊게 읽고 쓴 글입니다. 링크는 모두 무명자님의 심리학 광장입니다!
https://m.blog.naver.com/ahsune/222748861330
BIG5 성격검사 해석해보기
BIG5 성격 검사는, 현재 심리학계에서 가장 공신력 있는 성격 검사입니다. 이게 뭔지에 대해서 쉽게 말...
blog.naver.com
요소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개방성 openness :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
[상상력/ 예술적 감수성/ 감정 존중/ 모험성/ 지적 호기심/ 가치 진보]
2. 성실성 conscientiousnes : 성과, 성취도에 영향
[자신감/ 계획성/ 책임감/ 성취욕/ 자제력/ 신중함]
3. 외향성 extroversion : 삶의 만족도에 영향
[(외성-내성) 친밀감/ 리더십/ 명랑함 /(외향-내향) 사교성 / 활동성/ 흥미추구]
4. 우호성 agreeableness : 인간관계의 질에 영향
[신뢰/ 강직함/ 이타주의/ 협조성/ 겸손함/ 공감력]
5. 신경성 neuroticism : 삶의 불만족도에 영향
[걱정/ 분노/ 우울/ 자의식/ 충동성/ 심약함]
나의 경우 늘 그렇듯이 밍숭맹숭 결과 (극단적이지 않음) 였는데, 그래도 세부 항목 중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빨간색, 낮은 점수를 파랑색으로 표시해보았다.
1. 결과 중 와닿았던 구간
📌 외향성, 신경성
- 외향성 extroversion [(외성-내성) 친밀감/ 리더십/ 명랑함 / (외향-내향) 사교성 / 활동성/ 흥미추구] : 삶의 만족도에 영향
- 신경성 neuroticism [걱정/ 분노/ 우울/ 자의식/ 충동성/ 심약함] : 삶의 불만족도에 영향
아 ㅋㅋㅋㅋ 심약함 단어 왜 이렇게 웃기지... 갑작스러운 상황에서 평정심을 유지할 수 있는가? 가 포인트 인 것 같은데 그런면에서는 심약하다... 맞을지도...
세부 항목에서는 극단적인 부분들이 있는데 전체로 들어가면 평균이 되네요. 쩝; 결과적으로는 외향성은 평균보다 조금 낮고 신경성은 평균보다 조금 높은 정도가 됩니다.
📌 성실성
- 성실성 conscientiousnes [자신감/ 계획성/ 책임감/ 성취욕/ 자제력/ 신중함] : 성과, 성취도에 영향
성취욕 개같이 높은데 자제력이 개같이 낮음... 이러니 삶이 불만족스럽지요?

2. 결과 중 별 생각 없는 구간
- 개방성 openness [상상력/ 예술적 감수성/ 감정 존중/ 모험성/ 지적 호기심/ 가치 진보] : 라이프 스타일에 영향
- 우호성 agreeableness [신뢰/ 강직함/ 이타주의/ 협조성/ 겸손함/ 공감력] : 인간관계의 질에 영향
그냥 딱 평균값 나옴. 걔중에 모험성, 가치 진보, 이타주의, 협조성 정도가 내가 느끼기에 좀 잘 되는 부분.
그리고 위 블로그를 읽으면서 공감갔던 글들. 밍숭생숭 성격, 그리고 불안한 인간의 삶에 대하여... 님들도 고민이 있다면 읽어보시길.
1. 밍숭맹숭 성격 관련
> 애매모호한 성격의 장점과 단점
✅ 극단적인 성격적 특성이 없다는 건 다른 말로 성격에 구애받지 않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것
https://m.blog.naver.com/ahsune/223060870548
애매모호한 성격의 장점과 단점
약한 성격의 장단점 예를 들면 이런 거죠. 성격검사를 했는데, 양극단에 치우치지 않고 딱 "평균 점수...
blog.naver.com
> 내 성격을 잘 모르겠다면 당신은 이 성향일 수 있다!
✅ HSM (High Self Monitoring) 들은 상황, 주변에 따라 본인을 바꿀 수 있는 사람. 1인칭 주인공 시점이 아니라 3인칭 CCTV 시점으로 자신을 본다.
https://blog.naver.com/ahsune/222562158663
내 성격을 잘 모르겠다면 당신은 이 성향일 수 있습니다.
갑분검 (갑자기 분위기 성향검사)!!!!! =========...
blog.naver.com
2. 신경성 관련
> 신경과민 성격이 반드시 해야하는 루틴 ⭐
✅ 근육이완 & 1인칭으로 생각하기 (탈 3인칭 시점)
https://m.blog.naver.com/ahsune/223079829346
신경과민 성격이 반드시 해야하는 루틴
"신경과민 성격"은, BIG 5 성격유형 중에서 신경증(neuroticism) 수치가 높을 때 나타나는데,...
blog.naver.com
나는 불안이 졸라 심한 편이라 [~하면 어떡하지?] 하는 원툴 고민으로 모든 걸 스탑시킨다. 그리고 이건 사람들이랑 얘기하면 얘기할 수록 내가 심각한 편이라는 게 느껴짐. 그래서 사실 해결책 중 하나는 내 걱정을 주변에 얘기하는 거 같긴 하다. 굳이 친한 사람일 필요도 없고 그냥 아는 사람이랑 한 번 얘기해봐도 내가 걱친놈이구나라는 게 확 체감됨.
어쨌거나 그런 성향인 걸 뒤집을 수는 없으므로 최대한 잘 데리고 사려면 그냥 대비를 많이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플랜에이, 플랜비 만들다보면 해소되는 불안도 많음. 근데 포인트는 무엇이냐 불안한 놈들은 필연적으로 생각을 많이 하게 되어 있음. 준비를 하다가도 혹은 다 끝내더라도 망상 ON이 되면 너무 너무 괴롭단 말임? 그렇다면 그냥 그 상황 자체를 인지하는 게 도움이 됨. 내가 과도하게 걱정하고 있다, 일어날지 모르는 일을 생각하고 있다, 나는 준비를 했으므로 잘 대처할 수 있다... 등등. 팩트보다는 불안이라는 감정과 과도한 생각에 잠식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거기서 빠져나와서 한 걸음 뒤에서 보는 게 중요하다.
나는 불안의 근본인 무력감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어떻게 할 수 없을 것이라는 믿음이 나를 삶에서 타자화시킨다. 혹은 반대일 수도 있다. 내가 이미 객체화됐기 때문에 무력감이 생긴 걸 수도. 어쨌던간 포인트는 그렇기 때문에 스스로를 주체라고 여겨야 한다는 것이다. 나는 당하는 객체, 누군가에게 보여지는 인물이 아니라 지금 이 생을 살아가는 주체자라고 의식적으로 인지해야 한다. (이건 상담하다가 배웠는데 최근에 또 느낀다.)
> 성격(외향성/ 신경증)에 따라 달라지는 행복 추구 전략 ⭐ ⭐ ⭐
✅ 스트레스 취약자는 불행 지양 추구할 것
https://m.blog.naver.com/ahsune/222556486134
성격에 따라 달라지는 행복 추구 전략
얼마 전에 지인에게 재밌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친구들끼리 술을 마시면서 행복이라는 주제로 티카...
blog.naver.com
이건 ㄹㅇ 할 말이 많다. 애초에 이 글을 어디서 보고 무명자님의 블로그 탐험을 하게 됐음. 꽤 예전 일인데 갑자기 정리나 해볼까... 하는 생각으로 팔만대장경 쓰는 중 ㅋㅋ
심리상담 후반에 '나는 행복하지가 않다' 는 얘기를 한 적이 있다. 샘은 나에게 행복의 정의를 물어봤고 내가 뭐라고 했는지는 기억 나지 않는다. 다만 샘이 '불행하지 않음' 도 행복이라고 말하신 것이 꽤 충격이었다. (당시에는 이해가 잘 안가서 그냥 넘어감)
주변에 보면 별 거 아닌 일로 '너무 재밌다, 진짜 행복하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부럽습니다. 같은 상황에서도 나는 되려 싫은 감정이 클 때도 많다. 내가 스트레스에 취약한 탓이겠죠. 보통은 좋은 일과 짜증나는 일이 섞여서 일어나는 데 나는 짜증나는 일에 더 크게 반응하는 놈인 거다.
누군가는 쉽게 행복해지고 누군가는 쉽게 불행해진다. 그리고 나는 후자다. 그냥 그렇다고 하니 마음이 편안하다. 나는 스트레스에 취약하니 불행하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감사해야지🎵 사소한 행복을 느껴보고자 노력해야지🎵

3. 성실성 관련
> 미루기 대장들의 세가지 유형
✅ 소극적 완벽주의자, 습관성 회피주의, 아드레날린 중독자
https://m.blog.naver.com/ahsune/223223953675
미루기 대장들의 세가지 유형
"하기 싫지만 해야 할 일" 을 미룬다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그 사람을 게으르다고 단정지을 수는 ...
blog.naver.com
> 소극적 완벽주의자의 삶
✅ 행동 전에 생각이 많아지는 것, 과정이 완벽하지 못한 것도 당연하다. 그러니까 (인정하고) 그냥 해라!
https://m.blog.naver.com/ahsune/223073182400
소극적 완벽주의자의 삶
저는 BIG 5 성격유형으로 프로파일링을 할 때, 성실성 섹터에서 완벽주의를 두 유형으로 해석합니다. 소...
blog.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