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유튜브에서 (어째 다 유튜브에서 발견하는 것 같다만) 유현준 교수 강의를 봤다.
학교 건물이 교도소와 같다며 이런 획일적인 공간에서 창의적인 인재가 나오길 바라는 것이 이상하다고 하더라. 다른 이들은 학교 ‘교육’의 문제를 이야기할 때, 학교 ‘건물’의 문제점을 보는 시각, (최근의 화제인) 소프트웨어가 아닌 하드웨어로 세상을 보는 관점이 새롭게 느껴졌다.
이 책에서 계속해서 얘기하는 것은 <미디어가 자연을 대체했다>는 점이다.
주변을 볼 수 있는 환경에서는 풍경을 보지만 사람만 가득할 때, 마땅하게 눈을 둘 곳이 없을 때 슬그머니 핸드폰을 보곤한다. '사람들을 쳐다보는 건 무례하니까' 라는 이유로 한 눈 팔기 쉬운 화면을 본다. 개인의 공간에서도 마찬가지다. 볼볼 거라곤 정지한 벽지뿐이니, 가장 많이 움직이고 있는 유튜브를 키게 된다. 그리고 피로해진다.
그런데 여행만 가면 정말 핸드폰을 보지 않다. 왜 그럴까? 자연 속에 있을 때 혹은 건물 안에 자연이 있을 때 시시껄렁한 미디어의 장난에 넘어가지 않았다.
한편으로는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미디어 컨텐츠가 중요하겠구나, 싶었다. 컨텐츠 제작에 관심이 있는 사람으로서는 반갑지만 피로감을 느끼는 것은 사실이니까.
<뉴욕이 살기 좋은 이유도 시민들이 공유하는 무료의 공간이 많기 때문> 이라고 말하는 부분 역시 고개를 끄덕이게 되었다. 서울은, 아니 우리나라는 무료의 공간이 없다. 졸업한 뒤로도 학교를 찾게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어딘가에 소속되어있지 않으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전무하다. 그래서 결국 카페를 찾게되고 죄없는 나의 몸은 커피만 들이키게 된다. (불필요한 지출은 당연하고!) 뉴욕의 경우 걸어서 이동할 수 있는 수십개의 공원, 벤치 등이 있어 뉴욕시민을 고가의 작은 집으로 고립시키는 것이 아니라 융합시킨다고 한다.
부럽다.
뉴욕 가보고 싶다.
- 저자
- 유현준
- 출판
- 을유문화사
- 출판일
- 2018.05.30
읽은 날짜: 1/23~2/5
작성일: 2/9
'고독한 독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BTI 불신론자의 MBTI 뿌시기 : 책 <성격을 읽는 법> (0) | 2020.09.18 |
---|---|
갓생을 향한 염원을 모아... : <미라클 모닝, 할 엘로드> (0) | 2020.09.14 |
완벽하게(X) 작게(O) 시작하라 : 책 <아주 작은 습관의 힘, 제임스 클리어> (0) | 2020.09.07 |
드라마 '시그널' 과몰입러의 범죄심리학 읽어보기 : 책 <사이코패스는 일상의 그늘에 숨어 지낸다_김경옥, 이수정> (0) | 2020.09.04 |
Stop doing that shit! : 책 <내 인생 구하기, 개리 비숍> (0) | 2020.08.31 |